엑셀 INT 함수 - 인수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중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|
엑셀 INT 함수
INT 함수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을 하는 함수입니다.
인수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중 가장 가까운(큰) 수로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구문
INT(number)
number - 필수요소, 실수
엑셀 INT 함수는 하나의 인수만을 넣기 때문에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.
반환하는 값에 대한 개념만 확실히 정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예)
=INT(10.6) 10
10.6 보다 작은 정수는 10, 9, 8, 7,.... 이 있습니다.
이중 가장 가까운(큰) 정수인 10이 반환됩니다.
=INT(3.3) 3
3.3 보다 작은 정수는 3,2,1,0,-1,-2,... 이 있습니다.
이중 가장 가까운(큰) 정수인 3이 반환됩니다.
=INT(-4.6) -5
음수일 경우 많이들 헷갈려 하시는 것 같지만 위 개념대로 이해하시면 금방 아실 수 있습니다.
-4.6 보다 작은 정수는 -5,-6,-7,... 이 있습니다.
이중 가장 가까운(큰) 정수인 -5가 반환됩니다.
엑셀 INT 함수의 예제로 다시한번 개념을 정리해 봅시다.
위 예제를 보시면
=INT(10.2)
=INT(10.6)
=INT(10.7)
모두 10의 결과가 나왔습니다.
보시는 바와 같이 소수점의 숫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.
10.2,10.6, 10.7 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10, 9, 8, 7,... 중 가장 가까운(큰) 정수인 10이 반환됩니다.
음수도 마찬가지로
=INT(-10.5)
=INT(-10.6)
=INT(-10.1)
-10.1,-10.2,...-10.9 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는 -11,-12-13,...이 됩니다.
이 중 가장 인수와 가까운(큰) 정수인 -11이 됩니다.
정수 즉, 소수점이 0인 수를 인수로 넣으면 작거나 같은 인수중 가장 가까운(큰) 정수이기때문에 인수가 그대로 반환됩니다.
=INT(10.0) ->10
'오피스 > 엑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원단위 절사 함수 - 원단위,백단위,천단위,...절사 방법 (0) | 2016.05.03 |
---|---|
엑셀 소수점 절사 함수 비교/ INT, TRUNC,ROUNDDOWN (1) | 2016.05.01 |
엑셀 빼기 함수 - IMSUB 사용법 (0) | 2016.04.27 |
엑셀 SUM 함수 사용법 / 더하기 함수로 (0) | 2016.04.27 |
엑셀 TRUNC 함수 개념 이해 (0) | 2016.04.26 |
댓글